인사이트

GPT-5.1 시대, 마케터의 프롬프트가 달라지는 3가지 이유

GPT-5.1 핵심 변화와 바로 쓸 수 있는 실전 프롬프트까지 한 번에

2025년 11월 12일 오픈AI에서 GPT-5.1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성능 향상을 넘어 마케터가 AI를 활용하는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커뮤니케이션 방식부터 추론 능력, 프롬프팅 구조 전체가 개편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마케터가 알아야 하는 GPT-5.1 변화 3가지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실전 프롬프트 가이드를 정리했습니다.

Instant&Thinking 모델 선택

GPT-5.1 업데이트로 Instant/Thinking 두 가지 모델이 분리되었습니다. 이제 마케터는 본인이 원하는 스타일과 목적에 따라 원하는 GPT 모델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1).

오픈AI에서 GPT-5.1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Instant와 Thinking모델 중 고를 수 있습니다. Thinking 모델은 GPT 5보다 더 높은 추론을 보여줍니다.
이미지 출처: OpenAI
  • GPT‑5.1 Instant : 빠른 응답과 가벼운 추론에 최적화된 모델입니다. 대화형 UX가 개선되어 더 자연스러운 문장을 구사하며 사용자의 지시를 더 정확하게 따를 수 있습니다. 마케터는 카피(배너, 알림톡, SNS 등) 작성, 간단한 분석, 리포트 요약 등 속도가 중요한 작업에 Instant 모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GPT‑5.1 Thinking : 고급 추론 모델로 복잡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줍니다. 논리적 연결성이 강화되며 깊이 있는 분석에 적합합니다. 마케터는 리서치와 추론이 필요한 캠페인 전략 설계, 고객 여정 분석, 장문 콘텐츠 기획과 작성 등에 Thinking 모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드특징마케팅 실무 활용
Instant Mode응답 속도 빠름
가벼운 추론
짧은 카피, 자료 요약, 리뷰 분석, 간단한 리서치 등
Thinking Mode고급 추론
복잡한 분석 도움
캠페인 기획, 세그먼트 전략 설계, 고객 여정 분석, 경쟁사 분석 등

브랜드를 위한 GPT 만들기

GPT-5.1 프롬프팅 가이드에 따르면 스타일·톤·포맷을 AI가 ‘기억하고 유지하는 방식’으로 바뀌어2), 매번 같은 프롬프트를 입력하지 않아도 브랜드 스타일과 톤앤매너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이전 GPT

  • 톤·길이·포맷을 요청마다 반복 설명
  • 콘텐츠 작성이 길어지면 내용 및 어조가 바뀌는 경우 존재
  • 카피 → 이메일 → 리포트 등 요청이 바뀌면 일관성이 붕괴

✔ GPT-5.1

  • 규칙을 기억하고 전체 작업에서 유지
  • 금지 표현/문장 길이/리듬도 요청이 바뀌어도 유지
  • 팀 전체가 동일한 브랜드 톤으로 작업 가능

페르소나 활용으로 더 나아진 글쓰기

GPT-5.1에서는 단순히 “따뜻한 말투로 적어줘, 전문적으로 써줘” 수준을 넘어, AI가 문서 전체에서 유지해야 하는 글쓰기 규칙과 스타일 페르소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각 페르소나별로 구체적인 스타일을 이해하기 때문에 GPT의 글쓰기 결과물도 높일 수 있습니다3).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기존의 기본, 친근함, 효율적인 모드에 전문적, 솔직함, 독특함을 강조한 페르소나가 추가2)되었습니다.

그루비에서 정리한 GPT 페르소나. GPT-5.1에서 업데이트 된 페르소나로 글쓰기를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 전문적(Professional)
    • 비즈니스 톤, 명확하고 신뢰감 있는 표현, 보고서·전략 문서 작업에 적합
  • 솔직함(Candid)
    • 직설적이고 담백한 톤, 빠른 결론을 얻어야 하는 답변에 유용
  • 독특함(Quirky)
    • 개성 있고 유머러스한 톤, 브랜딩 콘텐츠·SNS 카피에 사용

GPT-5.1는 H2/H3 구조를 따르거나 표를 만드는 등 콘텐츠 출력 방식도 고정할 수 있어, 일관성 있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마케터의 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브랜드 신뢰도까지 강화할 수 있습니다.

GPT-5.1 프롬프팅 가이드, 핵심은 콘텐츠 규칙 설계

GPT-5.1 프롬프팅에서는 뭐가 바뀌어야 하는지 그루비에서 정리했습니다. AI가 규칙을 기억하기 때문에 콘텐츠 규칙 설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졌습니다.

AI가 콘텐츠의 스타일 규칙을 기억하고 유지하며 프롬프팅 방식도 변하게 됐습니다. 기존에는 요청사항을 매번 입력해야 했지만, GPT-5.1에서는 AI가 지켜야 할 ‘콘텐츠 규칙’을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중요해졌습니다.

GPT-5.1 프롬프팅 가이드를 따라 설계한 프롬프트 예시를 공유합니다.

GPT-5.1 프롬프트 예시

1. SNS·배너 카피 (Instant 모드 추천)

  • 장바구니 리마인드 카피를 빠르게 뽑고 싶을 때

역할: 당신은 이커머스 CRM 카피라이터입니다.

스타일 규칙:

  • 톤: Professional
  • 문장: 2~3줄, 짧고 명확하게
  • 포맷: 리스트 없이 문장형으로만 작성
  • CTA: 마지막 줄에 1개 포함 (예: 지금 확인하기, 상품 보러가기 등)
  • 과한 감탄/공손 표현 금지 (예: “완전 대박!”, “꼭 확인 부탁드립니다” 지양)
  • 브랜드 톤: 친절하지만 과도하게 친한 말투는 지양

목표: ‘장바구니 리마인드’ 푸시 카피 3개를 작성하세요.

캠페인 목적: 최근 14일간 구매 없는 고객에게 장바구니 상품을 상기시켜 재구매 유도
핵심 메시지: “장바구니에 담아둔 상품, 지금 다시 보면 좋은 이유”
혜택: 오늘 자정까지 무료배송 + 10% 추가 할인

조건:

  • 각 카피는 1문단, 3줄 이내로 작성
  • ‘할인율’보다는 고객 입장에서의 이득/상황(타이밍, 놓치기 아쉬움)을 강조
  • 중복 문장/표현 없이 3개를 서로 다른 각도로 작성

2. 캠페인 전략 제안서 초안 (Thinking 모드 추천)

  • 최근 30일 이내 구매 없는 고객 리텐션 캠페인을 기획하고 싶을 때

역할: 당신은 이커머스 CRM을 담당하는 시니어 마케팅 전략가입니다.

스타일 규칙:

  • 톤: Professional (데이터 기반, 감정 과장 X)
  • 구조: H2/H3 기반 아웃라인으로 작성
  • 문장: 과도하게 긴 문장은 피하고, 문단 중심으로 정리
  • 포맷: 본문 중간에 표 1개 포함 (세그먼트/전략 요약용)
  • 한 번에 전략 초안을 끝까지 작성하고, 분석만 하다가 멈추지 마세요.

목표: ”30일 이내 미구매 고객” 대상 리텐션 캠페인 전략 초안을 작성해 주세요.

데이터: (최근 3개월 주문수/객단가/카테고리/재구매 주기 데이터 붙여넣기)

필수 포함:

  1. 세그먼트 기준 정의
    • 신규/지금 잡아야 할 고객
    • 신경써야 할 고객
    • 잠재 VIP
    • 이탈 우려 고객 등
      (RFM 기반 10개군 가능)
  2. 세그먼트별 가설 3개
    예: 잠재 VIP는 최근 관심 카테고리 중심 반응 가능성 ↑
  3. 메시지 전략
    • 고객군별 톤
    • 장바구니 유도/카테고리 기반 추천/쿠폰 전략 등
  4. KPI 구조
    • 오픈율/클릭률/재구매율/LTV
  5. 실행 플로우
    • “세그먼트 정의 → 메시지 → 채널 → 혜택 → A/B 테스트”
      (표로 정리)

출력 형식:

  • 상단에 3~4줄 요약
  • H2/H3 구조 유지
  • 중간에 ‘세그먼트 vs 전략’ 표 1개 반영

AI와 마케팅 환경은 매일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GPT-5.1 이후 마케터의 역할은 AI가 따라야 할 브랜드 규칙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AI와 협업하는 시대, 그루비는 마케터와 함께 고민하며 계속해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안하겠습니다.





관련 콘텐츠

GPT와 함께하는 그루비 이커머스 마케팅(1)

카피라이팅, 어렵게 쓰지 마세요! (Chat-Gpt 프롬프트 무료 배포)

이커머스가 AI 에이전트에 주목하는 이유





출처

1) GPT-5.1: 더 똑똑하고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ChatGPT

2) 오픈AI 챗GPT-5.1, “어떤 기능이 개선됐나”…사용자가 참고해야 할 5가지 사항

3) GPT-5.1 Prompting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