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이 브랜드를 구매하는 순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똑같은 할인율의 캠페인을 진행할 때도 어떤 메시지는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고, 어떤 메시지는 반응없이 사라집니다. 세계적인 마케팅 석학 필립 코틀러는 고객 로열티는 구매 행위가 아니라 고객이 진심으로 만족할 때 발생하는 구매 동기에 의해 구축된다고 말했습니다¹). 고객이 브랜드와 정서적으로 연결될 때 충성도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마케터는 고객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브랜드를 선택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고객의 ‘취향’을 읽는 것이 고객과의 유대를 만드는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AI 세그먼트와 고객 여정의 만남 3편에서는 데이터 뒤에 숨은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고, 취향으로 구매 전환을 이끌어내는 취향분석 세그먼트를 살펴봅니다.
고객의 취향까지 알아야 하는 이유
CRM 마케팅의 핵심은 고객을 정확히 이해하고 세분화하는 것에 있습니다. 기존 CRM 세그먼트는 고객의 방문, 구매 주기, 구매 금액 등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데 집중했습니다. 하지만 고객이 ‘왜’ 그 브랜드를 선택했는지 이유를 찾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트렌드코리아는 2025년, 첫 키워드로 ‘옴니보어(Omnivore)’를 제시했습니다. 옴니보어는 하나의 취향이나 카테고리 소비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취향과 브랜드를 자유롭게 소비하는 고객을 뜻합니다. 같은 고객이 가성비 제품과 프리미엄 제품을 번갈아 구매하는 것처럼, 고객의 소비 패턴은 점점 더 복합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옴니보어 시대에 고객을 더 정교하게 타겟팅하는 ‘마이크로 세그먼트(Micro-Segment)’ 전략이 필요합니다. 그루비의 취향분석 세그먼트는 고객 행동 뒤에 숨은 취향과 구매 동기를 읽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복합적인 소비 형태까지 수치화 해, 더욱 정밀한 타겟팅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고객의 취향을 읽는 AI 취향분석 세그먼트
그루비의 AI 취향분석 세그먼트는 “고객이 그동안 살펴본 상품의 특징을 종합해보면 고객의 취향을 알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AI 취향분석 세그먼트는 고객이 한 달 동안 조회·클릭·검색한 상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한 관심 패턴을 가진 고객을 그룹화합니다.

- 관심 키워드 도출: 브랜드명, 카테고리, 상품 소재 등 관심 키워드 추출
- 유사 취향 고객군 그룹화: 비슷한 취향을 가진 고객군을 그룹화 하여 마이크로 세그먼트 전략 수립에 활용
- LLM 기반 자연어 요약: ‘상큼한 바캉스룩’, ‘캠핑용품을 선호하는 고객’ 등 자연어로 요약,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
- 상위 인기 상품 제공: 그룹 내에서 가장 많이 조회된 상품 최대 8개까지 확인 가능
마케터는 각 그룹의 취향과 관심 상품을 쉽게 확인하고 캠페인 메시지, 상품 추천, 쿠폰 등을 세밀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세그먼트로 고객의 행동을 예측하고, 취향분석 세그먼트로 고객의 선택을 이해하고 또 다른 구매를 이끌 수 있는 것입니다.
취향분석 세그먼트 x 고객 여정 단계 활용
고객 여정은 크게 획득(Acquisition) → 전환(Conversion) → 리텐션(Retention)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AI 취향분석 세그먼트를 활용하면 고객 여정 전 단계에서 감정과 데이터를 연결한 마케팅이 가능합니다.

1️⃣ 고객의 ‘탐색’을 만드는 맞춤형 기획전
고객과의 관계를 만들어 갈 때, 고객이 브랜드를 자신의 취향에 맞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AI 취향분석 세그먼트는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고급스러운 여성 아우터 선호 집단’, ‘스포츠웨어 선호하는 고객군’ 등으로 그룹화하고, 각 취향에 맞는 테마형 기획전이나 추천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객의 탐색과 체류 시간을 늘리고, 브랜드와의 초기 관계 형성에 효과적입니다.
예시 캠페인:
- “고급스러운 캐시미어 코트 베스트 보러가기🔥”
- “운동복 찾고 계신가요? 가을 러닝 룩북 기획전을 확인해보세요!”
- 활용 포인트:
- 취향 그룹별 취향 맞춤 캠페인 구성 → 고객의 관심사 자극, 고객 탐색 및 호감도 향상
2️⃣ 고객의 ‘결정’을 돕는 오프사이트 메시지
고객이 구매를 고민하고 있을 때, ‘비슷한 고객의 선택’을 근거로 메시지는 구매 결정을 앞당길 수 있습니다. 취향분석 세그먼트는 각 그룹별로 가장 많이 조회한 상품을 최대 8개까지 보여주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고객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는 오프사이트 메시지(푸시, 카카오톡 등)을 발송할 수 있습니다.
예시 캠페인:
- “투피스를 좋아하는 고객님들은 이 상품도 함께 보셨어요!”
- “감성 캠핑 마니아 고객님, 이런 세트 구성은 어떠세요?”
- 활용 포인트:
- 세그먼트별 인기 상품·데이터 기반으로 오프사이트 메시지 발송 → 구매 전환 유도
3️⃣ 다양한 취향을 아우르는 캠페인으로 리텐션 강화

고객이 브랜드에 만족하고 감정적인 유대감이 생길 때 지속적인 리텐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취향분석 세그먼트는 최근 31일간의 데이터를 새로 분석해 고객의 취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반영할 수 있습니다. 취향분석 세그먼트 안에서 여러 그룹을 동시에 선택해 합산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세련된 오피스룩 선호 그룹’과 ‘고급스러운 캐시미어 아우터 선호 그룹’을 함께 설정해 캐시미어 코트를 출근룩이라는 키워드와 함께 노출하는 등, 하나의 상품으로도 다양한 취향을 아우르는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시 캠페인:
- “트렌치코트를 좋아하는 고객님을 위한 시크릿 쿠폰이 도착했어요!”
- “출근길을 따뜻하게 지켜줄 캐시미어 코트 컬렉션이 업데이트 되었어요!🔥”
- 활용 포인트:
- 취향분석 세그먼트 기반 카테고리의 신상품 알림, 캠페인 기획 → 고객의 장기적 관심 및 리텐션 강화
취향분석 세그먼트 3가지 효과
1️⃣ 정밀 세그먼트 설계
- RFM, 구매확률 등의 세그먼트와 결합하면 누가 구매할 것인지, 언제 구매할 것인지, 어떤 것을 왜 구매하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세그먼트를 정밀하게 나눌 수 있어 타겟군별 예산 분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2️⃣ 취향 기반 자동 큐레이션
- 세그먼트별 대표 키워드와 인기상품을 기반으로 손쉬운 상품 추천과 기획전 설계가 가능합니다.
- MD나 마케터는 취향분석 세그먼트를 통해 고객군별 콘텐츠를 빠르게 구성하여 캠페인 전환율과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감정적 리텐션 강화
- 고객의 다양한 취향을 아우를 수 있어 브랜드에 대한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나를 이해하는 경험을 제공해 지속적인 리텐션 유도가 가능합니다.
RFM과 구매확률이 ‘누가’ 구매할지를 예측했다면 취향분석은 고객의 마음이 ‘무엇에’ 움직이는지 찾아냅니다. 캠핑 장비 하나를 살 때도 제품이 아니라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찾는 고객의 마음을 한 발 앞서 읽는 것은 브랜드가 고객을 이해한다는 것을 확신하게 해주고,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그루비의 AI 세그먼트 3가지와 함께 고객에게 맞는 상품과 캠페인을 찾고, 데이터 뒤에 숨겨진 고객의 마음까지 읽어내고, 감정으로 연결되는 마케팅을 진행해보세요. 따로 또 같이 AI 세그먼트를 활용하면 빈틈없는 고객 여정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 관련 콘텐츠
AI 세그먼트와 고객 여정의 만남 1편, RFM 세그먼트
AI 세그먼트와 고객 여정의 만남 2편, 구매확률 세그먼트
출처
1) 진짜 고객 로열티 얻으려면 ‘구매 행위’ 아닌 ‘구매 동기’에 집중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