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부터 보기: [오프사이트 캠페인 인사이트 1편] 오프사이트 메시지의 중요성
오프사이트 캠페인의 중요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실제로 성과를 만드는 메시지 설계 방식은 생각보다 다양하고 섬세합니다. 반복 발송은 여전히 유효한가? 어떤 이벤트를 기준으로 트리거 메시지를 설계해야 하나? 개인화 추천은 무엇부터 고려해야 할까?
이번 편에서는 실무자가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중심으로 오프사이트 메시지 설계의 핵심 포인트를 하나씩 짚어 보겠습니다.

1. 반복 발송 가이드
반복 발송은 메시지를 정해진 주기(일간/주간/월간)로 자동으로 발송하는 방식입니다. 고객과의 지속적인 접점을 만드는데 유용하지만, 반복성은 자칫 고객의 피로도를 높일 수 있어 세심한 기획이 필요합니다.
설계 포인트
- 고객 세분화: 전체 고객보다 최근 방문자 또는 구매자 등으로 타겟팅
- 주기 설정: 콘텐츠와 타이밍의 적절성 유지 (예: 신상품 위클리 추천)
- 콘텐츠 다양화: 동일 메시지 반복 금지 및 시기와 이슈에 따라 콘텐츠 리프레시
주의할 점
- 수신 동의 취소 주의: 반복 발송은 자칫 고객의 수신 동의 취소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성과 모니터링 필수: 오픈율/클릭률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중단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이벤트 트리거 발송 가이드
이벤트 기반 트리거 발송은 고객 행동(구매, 장바구니 담기 등)을 감지해 자동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고객의 행동에 맞춘 ‘적시 메시지’는 전환율을 끌어올리는 가장 강력한 수단입니다.
핵심 트리거 유형 및 설계 가이드
트리거 조건 | 메시지 예시 | Tip |
장바구니 이탈 |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 곧 품절될 수 있어요!” | 30분~1시간 이내 발송 / 긴급성 강조 |
구매 완료 | “요거트 구매 고객님께 추천드려요: 그래놀라 20% 할인!” | 구매 후 1~5분 이내 발송 / 연관 상품 제안 |
특정 페이지 이탈 | “고민 중이신가요? 리뷰가 많은 상품을 다시 확인해 보세요!” | 관심 상품 기반 리마인드 |
그루비 Tip
- 이벤트 트리거를 설정해 행동 기반 캠페인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타겟 그룹을 세분화해 행동+속성 조건을 결합 가능 (예: VIP 고객 중 장바구니 이탈자)

3. 개인화 추천 메시지 발송 가이드
개인화 추천 메시지는 ‘누구에게 어떤 메시지를 보여줄 것인가’의 정밀도를 극대화합니다.
설계 3요소
- 데이터 기반 세그먼트 설정 – 예: 높은 구매력을 가진 VIP 그룹
- 추천 알고리즘 설정 – 연관 상품, 반복 구매 상품, 최근 본 상품 등
- 콘텐츠 포맷 최적화 – 캐러셀 또는 와이드 이미지, 가격+리뷰 강조 등
성공 사례
H사는 고객별 ‘최근 상세보기 상품’과 ‘최근 상세보기 연관 상품’ 그리고 ‘장바구니 연관 상품’을 중심으로 개인화된 상품 추천을 메시지에 삽입해 발송했습니다. 그 결과 일반 메시지 대비 클릭률을 3배, ROAS 25배까지 끌어올렸습니다.

핵심은 고객 관심사에 기반한 ‘맞춤 콘텐츠 설계’였습니다.
채널별 메시지 특징 정리
메시지 유형 | 최적 채널 | 특징 | 최적화 방법 |
반복 발송 | 문자, 앱푸시, 친구톡 | 정기적 리마인드 | 간결한 메시지, 구체적 CTA |
트리거 발송 | 앱푸시 | 행동 기반 대응 | 발송 시간 세밀화, 상품 연관성 강소 |
개인화 추천 | 카카오 모먼트 | 고객별 콘텐츠 | 추천 상품 강조 |
마무리: 오프사이트 캠페인에서 중요한 것은 ‘기획력’
오프사이트 메시지는 단순한 알림이 아닌, 고객과의 관계를 설계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반복 발송, 트리거 발송, 개인화 추천이라는 각 메시지 방식은 전략적으로 병행되어야 하며, 그 핵심은 고객 중심의 정교한 설계에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오프사이트 캠페인의 트렌드와 기술 기반 진화를 소개하며 더 스마트하고 섬세한 전략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