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마케터라면 알아야 할 옴니보어

옴니보어 시대, 해답은 '취향 분석'

요즘 소비자, 예측하기 어렵지 않으신가요? 20대 여성이라고 해서 꼭 트랜디한 패션을 좋아할거라는 보장은 없고, 40대 남성이라고 해서 항상 실용성만을 추구하지도 않으니까요.. 이처럼 고객의 연령, 성별, 직업과 같은 전통적인 데이터만으로는 소비자의 ‘진짜 취향’을 읽어내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습니다.

바로, ‘옴니보어’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라디오스타 764회 ‘트렌드를 읽는 자들’ 특집

옴니보어란?

옴니보어(Omnivore)는 원래 ‘잡식성’을 뜻하는 단어지만 마케팅에서는 ‘다양한 니즈를 가진 소비자’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하나의 고정된 니즈에 머물지 않고 감성적인 것도 좋아하면서 기능적인 것도 중요하게 여깁니다. 때로는 미니멀리즘을 따르지만 화려함을 즐기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니즈가 고정되지 않은 고객들입니다.

이제 중요한 질문은 이것입니다. “이렇게 변화무쌍한 고객의 선호와 니즈를 우리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옴니보어 시대, 마케터의 해답은 ‘취향 분석’

다양한 취향을 가진 고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행동을 깊이 있게 들여다봐야 합니다. 단순히 구매 여부나 클릭 수만이 아니라 어떤 상품을 둘러봤는지, 어떤 분위기의 상품을 선호하는지를 관찰해야 합니다.

이 고민에서 출발한 그루비의 기능이 바로 ‘취향분석 세그먼트’입니다.

그루비의 ‘취향분석 세그먼트’란?

고객이 한달 동안 둘러본 상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고객을 취향 그룹을 자동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패션 쇼핑몰이라면 아래와 같은 취향 그룹이 만들어 집니다.

  • 클래식한 우아함을 선호하는 집단
  • 남다른 캠퍼스 꾸안꾸 선호 집단
  • 매일 아침 찾게 될 데일리룩 선호 집단

이후 챗GPT가 해당 그룹의 주요 키워드, 그룹 이름, 설명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마케터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그룹 내 고객들이 가장 많이 본 상품 Top 8도 함께 제공되어 상품 기획전, 맞춤 마케팅, 리타겟팅 전략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취향분석 세그먼트,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 숨겨진 니즈 발굴: 표면적으로는 드러나지 않던 고객들의 취향을 AI가 도출
  • 기획전 운영: 고객 그룹별 테마 기획전 구성 및 앱푸시 등 오프사이트 채널 연계
  • 판매 전략 수립: 고객 그룹별로 어떤 톤앤매너의 콘텐츠와 상품 구성이 잘 맞는지 파악 가능
  • 쇼핑 만족도 향상: 고객의 취향 변화에 따라 그룹이 자동 업데이트되어 더 나은 고객 경험 제공

옴니보어 소비자의 시대, 마케터는 더 이상 평균적인 고객에게 의존할 수 없습니다. 취향을 읽고 취향에 반응하는 마케팅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 졌습니다.

그루비의 ‘취향분석 세그먼트’를 활용해, 이제는 고객의 ‘취향’까지 타겟팅해보세요.